학습 분석 데이터
현재 에듀테크 분야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도 데이터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사용자의 플랫폼, 기기 등 매우 다양해졌기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가 수집이 어려우며 각각의 환경에 맞춰진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
학습 분석(Learning Analytics)은 학습 데이터를 교육적 목적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진행된다.
이를 통해서 개개인의 환경을 이해하고 맞춤 환경을 조성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하고자 한다.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서 방대한 양의 학습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분석하는 것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기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학습 분석 기술 표준을 개발해왔고, 이것이 xAPI (Experience API)이다.
xAPI (Experience API)
학습 분석 쪽에서는 데이터 수집과 관련하여 2가지의 국제 표준 API가 있다
1) IMS Caliper analytics
2) Experience API (xAPI)
2가지 API 모두 학습 활동 정보를 LRS (Learning Record Store)에 저장하기 위한 목적, 수집 과정 등은 유사하나,
데이터 규격에 사용되는 어휘 및 규격에 차이가 있다.
그 중 xAPI가 어떤 종류의 학습 경험에 대해서도 서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어 유연성과 활용성이 높은 편이다.
xAPI는 여러 학습 활동, 경험, 결과 등을 표준화된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학습 데이터들은 데이터 저장소인 LRS (Learning Record Store)에 적재된다.
* LRS (Learning Record Store)란?
학습 분석의 기반이 되는 시스템으로, xAPI 형태로 축적된 빅데이터 트래킹 정보를 DSL (Domain Specific Language)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빅데이터에 대한 복합조회 및 다형성 결과 도출을 위한 Query Langauge를 지원하는 시스템
Reference
학습분석 데이터 수집을 위한 xAPI 관련 동향 I
- 학습분석과 xAPI 간략 소개 | Ⅰ. 들어가며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사회 각 분야가 디지털 전환이라는 거대한 흐름 앞에서 생존과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특히 정보 기술
brunch.co.kr
'Data Analysis > xA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xAPI Statements (0) | 2024.04.10 |
---|